- 추상화

추상화는 두 차원에서 이뤄진다.

1.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하게 만드는 것

2.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하게 만드는 것

 

 

공통점을 기반으로 객체들을 묶기 위한 그릇을 개념(concept)이라고 한다.

개념을 이용해 객체를 여러 그룹으로 분류(classification)할 수 있다.

=> 객체란 특정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을 의미한다.

      개념이 객체에 적용됐을 때 객체를 개념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개념의 세 가지 관점

=> 심볼(이름), 내연(개념의 정의), 외연(개념에 속하는 모든 객체의 집합)

 

개념은 추상화의 첫 번째 차원인 일반화를 적용한 결과이다.(by 공통점)

 

 

- 타입

타입 = 개념. 동일하다

 

데이터 타입은 메모리 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데 사용하는 메모리 집합에 관한 메타데이터이다.

 

객체는 데이터가 아니다.

객체가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이다. (by 행동)

행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면 객체 내부의 상태를 어떤식으로 표현해도 상관없으며, 객체의 내부적인 표현은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캡슐화)

 

결국 객체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은 객체의 행동뿐이다.

같은 타입에 속한 객체는 행동만 동일하다면 서로 다른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내부의 표현 방식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식은 각자 다를 수 있다.(=다형성)

그러므로 다형적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에 속하게 된다.

 

=> 객체를 결정하는 것은 행동이며 데이터는 행동을 따를 뿐이다.

 

 

- 일반화/특수화 관계

포괄적인 개념과 좀 더 특화된 행동을 하는 특수한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특수화 관계라고 한다.

ex) 사람 / 선생님 관계. 선생님은 사람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학생을 가르치는 행동을 한다.

 

일반적인 타입은 특수한 타입에 비해 더 적은 수의 행동을 가지며,

특수한 타입은 일반적인 타입이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객체지향에서 일반화/특수화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역시 객체의 상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아닌 행동이다.

 

일반적인 타입을 슈퍼타입(Supertype), 특수한 타입을 서브타입(Subtype) 이라고 한다.

서브타입은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다.

 

 

- 타입의 목적

타입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앨리스의 상태를 시간과 무관한 정적인 모습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시간이라는 요소를 제거했으므로 타입은 추상화 라고 할 수 있다.

 

 

객체를 생각할 때 두 가지 모델을 고려한다.

하나는 객체가 특정 시점에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를 가지는지를 포착하는 동적 모델,

다른 하나는 시간에 독립적으로 객체의 상태와 행동을 표현하는 타입 모델(정적 모델)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정적인 모델은 클래스를 이용해 구현된다.

그러나 클래스는 타입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법중 하나일 뿐 객체지향의 핵심은 객체의 상태와 그 상태를 변경하는 행위이다.

 

+ Recent posts